[논단] 미국특허법 102조와 한국특허법 29조, Pre-AIA 102조와 AIA 102조의 비교
등록일 : 2019.03.08 조회수 : 5,901
첨부파일 : 미국특허법 102조와 한국특허법 29조, Pre-AIA 102조와 AIA 102조의 비교.pdf

미국특허법 102조와 한국특허법 29, Pre-AIA 102조와 AIA 102조의 비교

특허법인  유일하이스트

김은구변리사

 

1. 서론

특허실무자라면 미국 특허법 102조에 대해 아래 사항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.

 

, 미국 OA 검토의견 작성시, 반드시 102(a)(1)인지 102(a)(2)인지 반드시 구별해서 명시하고,

각각의 예외조항인 102(b)(1) 102(b)(2)에 해당하는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.

 

예외조항 체크시, 인용문헌의 출원인 및/또는 발명자가 본원발명의 출원인 및/또는 발명자와 동일한지 꼭 체크하고, 1년 기간 또는 우선기간 꼭 체크해야 합니다.

 

2. 비교

102(a)(1)은 한국특허법 제291(공지공용), 102(a)(2)는 한국특허법 제293(확대된선원),

102(b)(1)은 한국특허법 제30(신규성의제)(출원인/발명자의 선행문헌으로 1년 이내 공지/공용은 신규성상실예외), 102(b)(2)는 확대된 선원의 예외(출원인/발명자 동일시 적용 예외)에 대응됩니다.

 

아울러, 미국특허법 Pre-AIA 102조와 AIA 102조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 

  Pre-AIA AIA
(a) 공지/공용 (1) 공기/공용
    (2) 선출원
(b)  grace period (1) 공지/공용의 예외(grace period)
    (2) 선출원의 예외
(c)  포기  
(d)  해외 등록 후 미국에 출원  
(e)  확대된 선원  
(f)  무권리자  
(g)  선원(선발명)  

 

 

3. 결론

결론적으로 102(a)(1)로 거절된 경우에 102(b)(1)에 해당하지 않는지, 즉 선행문헌이 본원발명과 출원인 또는 발명자가 동일한지 여부 및 출원일(또는 우선일)로부터 1년 이내에 공개된 것인지를 꼭 살펴봐야 합니다. 102(a)(2)로 거절된 경우에 확대된 선원의 예외, 즉 선행문헌이 본원발명과 출원인 또는 발명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결론적으로 102(a)(1) 102(a)(2)로 거절된 경우에 선행문헌이 본원발명과 출원인 또는 발명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예를 들어, 특정 출원인 A의 미국출원의 경우에 출원인 또는 공개자가 A인 선행문헌으로 거절되는 경우에는 예외에 해당하지 않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여론으로 한국특허법과 다르게 102(a)(1) prior art 102(b)(1) prior art의 조합으로 103(진보성)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 
게시판 이전글 화살표 이전글 [논단] 심사관 성향을 파악하고, 심사관 면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자.
게시판 다음글 화살표 다음글 [내부공지] ◆Double Patenting(이중특허)